MMF ETF란 무엇인가?
MMF ETF는 단기 금융상품에 투자하는 MMF(머니마켓펀드)의 성격을 가지면서도, 주식처럼 실시간으로 거래 가능한 ETF(상장지수펀드)입니다. 기존 MMF보다 유동성이 높고, 예금보다 수익률이 좋으면서도 안전자산으로 간주되기 때문에 최근 같은 변동성 장세에 자금의 피난처로 부상하고 있습니다.
MMF ETF 투자 포인트 요약
구분 | 설명 | 투자자에게 중요한 이유 |
유동성 | 주식처럼 실시간 매매 가능 | 단기 자금 관리에 유리 |
안전성 | 국공채, RP, 예금 등에 투자 | 원금 손실 위험 낮음 |
수익성 | 예금금리 대비 다소 높은 수익 | 은행 예금의 대안 |
연금계좌 편입 가능 | 퇴직연금·IRP·ISA에 100% 투자 허용 | 비과세·절세 혜택 활용 가능 |
MMT ETF 주요 8종 비교
상품명 | 운용사 | 설정일 | 1년수익률 | YTD수익률 | 총보수 | 신용등급 | 순자산(억원) | 평균거래량(일/주) |
1Q 머니마켓액티브 | 하나 | 2024.04.02 | 1.12% | 3.86% | 0.05% | - | 6,588 | 7만주 (38억) |
RISE 머니마켓액티브 | KB | 2023.05.09 | 3.75% | 1.09% | 0.05% | 1등급 | 27,314 | 30만주 (162억) |
PLUS 머니마켓액티브 | 대신 | 2024.03.26 | 3.75% | 1.11% | 0.05% | 2등급 | 4,880 | 3만주 (15억) |
KIWOOM 머니마켓액티브 | 키움 | 2024.02.29 | 3.68% | 1.11% | 0.05% | 2등급 | 3,014 | 2만주 (10억) |
KODEX 머니마켓액티브 | 삼성 | 2024.08.06 | - | 1.03% | 0.05% | - | 59,218 | 32만주 (330억) |
TIGER 머니마켓액티브 | 미래에셋 | 2025.04.22 | - | - | 0.04% | - | 1,251 | 17만주 (84억) |
HANARO 머니마켓액티브 | NH | 2024.07.16 | - | 1.05% | 0.04% | - | 729 | 6천주 (3억) |
SOL 머니마켓액티브 | 신한 | 2024.06.25 | - | 0.94% | 0.05% | - | 112 | 2만주 (10억) |
*YTD: 올해 1월 1일 이후 수익률 기준
*1년 수익률은 설정일 기준 1년이 지난 상품만 집계됨
투자자 유형별 추천 전략
1. 수익률 우선형
"짧은 기간이라도 예금보다 수익이 더 나야 해요"
추천 상품:
- 1Q 머니마켓액티브 (수익률 3.86%, YTD 기준)
- RISE 머니마켓액티브 (1년 수익률 3.75%)
이유:
- 금리 민감도가 높은 RP, 단기채 비중이 높아 수익률 상위권
- 다만 설정일이 짧으면 과거 수익률로 비교가 어려움
2. 초저비용 중시형
"장기적으로 굴릴 거라 비용이 중요합니다"
추천 상품:
- TIGER 머니마켓액티브
- HANARO 머니마켓액티브
이유:
- 총 보수율 0.04%로 전체 중 가장 낮음
- 특히 TIGER는 거래량도 높아 유동성도 무난
3. 안정성·신용등급 중시형
"기관 투자자처럼 신용도 높은 상품이 좋아요"
추천 상품:
- RISE 머니마켓액티브 (신용등급 1등급)
- PLUS, KIWOOM (신용등급 2등급)
이유:
- 한국신용평가(KIS) 등급 기준, 공공기관·연금펀드 등이 참고
- 등급이 부여된 상품은 내부 관리 기준도 엄격
4. 유동성 중시형
"언제든 팔 수 있어야 하고 거래도 활발해야 해요"
추천 상품:
- KODEX 머니마켓액티브
- RISE 머니마켓액티브
- TIGER 머니마켓액티브
이유:
- 일 거래량, 순자산 모두 상위권
- 특히 삼성자산운용의 KODEX는 자산 5조 이상
MMF ETF 활용 팁
활용 목적 | 방법 | 이점 |
현금성 자산 운용 | 예금 대신 매수 | 수익률↑, 환금성↑ |
주식시장 하락 시 피난처 | 주식 비중 줄이고 MMF ETF로 이동 | 하락 회피, 타이밍 조절 |
연금계좌 (IRP, 퇴직연금) | 채권 대체로 편입 | MMF ETF는 100% 편입 허용, 이자 소득 비과세 |
단기 투자자금 파킹 | 거래대기금, 배당 대기자금 등에 사용 | 시장 상황 볼 때 유리 |
아래는 연금계좌(퇴직연금, IRP, 연금저축) 안에서 MMF ETF와 기타 ETF를 조합하는 전략을 투자 성향별로 정리한 것입니다. 이 전략은 세 가지 기본 전제에 바탕을 둡니다:
1. 연금계좌 내 MMF ETF는 100% 편입 가능하며, 세제 혜택이 유지됩니다.
2. 주식 ETF는 세금 이연 + 저렴한 운용보수로 장기 투자에 유리합니다.
3. 포트폴리오의 리밸런싱은 비과세로 자유롭게 가능하므로 전략적으로 자산을 이동할 수 있습니다.
투자 성향별 MMF ETF 조합 전략
① 안정형 (원금 보전 우선 / 은퇴가 가까운 분)
자산군 | 비중 | 추천 상품 |
MMF ETF (현금성) | 60~80% | KODEX / RISE / 1Q |
채권 ETF | 20~40% | KOSEF 국고채10년, TIGER 단기채권액티브 등 |
특징: 시장이 흔들릴 때 MMF ETF에서 채권으로 일부 이동
목적: 자산 보존 + 이자 수익 + 금리 하락 시 수익 확보
리밸런싱 팁: 금리 인하 시 MMF에서 채권ETF로 이동
② 중립형 (수익과 안정 사이 / 은퇴까지 5~10년)
자산군 | 비중 | 추천 상품 |
MMF ETF | 20~40% | 1Q / KODEX / TIGER |
채권 ETF | 20~40% | KODEX 종합채권, KBSTAR 중장기국채 |
주식 ETF | 30~50% | KODEX 200, TIGER 미국S&P500 등 |
특징: 시장 변동성 클 때 MMF 비중 확대 가능
목적: 하락 방어 + 상승장 참여 + 자산 배분 통한 분산
리밸런싱 팁: 주식 급등 시 수익 일부 MMF로 잠시 이동
③ 공격형 (장기 성장 추구 / 은퇴까지 10년 이상)
자산군 | 비중 | 추천 상품 |
MMF ETF | 10~20% | TIGER / HANARO (저보수) |
채권 ETF | 0~20% | 금리 변동성 대비용 (선택) |
주식 ETF | 60~90% | TIGER 미국나스닥100, KODEX 2차전지, iShares MSCI ACWI 등 |
특징: MMF는 단기 리스크 회피용으로 소규모 유지
목적: 글로벌 주식으로 장기 복리 수익 추구
리밸런싱 팁: 하락장 시 MMF에서 저가 매수
MMF ETF의 핵심 역할 3가지
역할 | 설명 |
유동성 확보 | 리밸런싱 시 대기자금으로 유용 |
안전자산 기능 | 시장 급변 시 자산 가치 보전 |
금리 수익 확보 | 예금보다 높은 수익률 (연 3~4%) 가능 |
2025.04.23 - [생활경제정보] - 종합소득세 신고 대상, 과세 표준, 신고 기간 및 원클릭 환급
종합소득세 신고 대상, 과세 표준, 신고 기간 및 원클릭 환급
종합소득세란 무엇인가요? 종합소득세는 개인이 한 해 동안 벌어들인 종합소득(여러 종류의 소득을 합한 것)에 대해 내는 세금입니다. 여기서 말하는 소득은 크게 다음 여섯 가지입니다: 종합소
1.progress-joo.com
간단한 예시 포트폴리오 (중립형, 40대 직장인 기준)
상품군 | ETF | 비중 |
MMF ETF | KODEX 머니마켓액티브 | 30% |
채권 ETF | KOSEF 국고채10년 | 20% |
국내 주식 ETF | KODEX 200 | 20% |
해외 주식 ETF | TIGER 미국S&P500 | 30% |
*분기 1회 리밸런싱
*시장 불안 시 MMF 비중 50%까지 확대 가능
'생활경제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종합소득세 신고 대상, 과세 표준, 신고 기간 및 원클릭 환급 (2) | 2025.04.23 |
---|---|
관세 누가 내고 누가 이득 보며 어디에 어떻게 쓰일까? (2) | 2025.04.21 |
장애인 신규고용장려금 지원 대상, 지원 내용, 신청 방법 (0) | 2025.04.17 |
원/달러 환율 향후 전망과 시사점 및 대응 전략 (0) | 2025.04.15 |
환매조건부채권(RP)란? (2) | 2025.04.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