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생활경제정보

알아두면 도움이 되는 경제 용어 25개 아주 쉽고 자세하게 이해하기

by 수진이의 노력 2025. 4. 29.
반응형

 

 

 

 

 

 

 

 

 

 

 

알아두면 도움이 되는 경제 용어 25개     

 

 

 

1. GDP (국내총생산)

 

뜻: 한 나라 안에서 1년 동안 사람들이 만들어낸 모든 물건과 서비스의 가치를 모두 합한 것.

 

예시:

 

삼성전자 공장에서 만든 스마트폰

카페에서 판 커피

미용실에서 머리 자른 서비스

이런 것들을 돈으로 계산해서 다 합친 금액입니다.

→ "우리나라 경제가 얼마나 크고 활발한지"를 보여줍니다.

 

 

 

 

 

알아두면 도움이 되는 경제 용어 25개 아주 쉽고 자세하게 이해하기
알아두면 도움이 되는 경제 용어 25개 아주 쉽고 자세하게 이해하기

 

 

 

 

 

 

 

2. GNP (국민총생산)

 

뜻: 우리 국민이 어디서 돈을 벌었든(국내든 해외든) 모두 합친 것.

 

예시:

 

한국인이 미국에서 번 돈

한국 회사가 외국에서 벌어온 수익

이런 것도 GNP에 포함됩니다.

 

 

3. 인플레이션 (물가 상승)

 

뜻:물건 값이 전반적으로 올라서, 같은 돈으로 살 수 있는 물건이 줄어드는 현상.

 

예시:

 

작년에는 5,000원이던 햄버거가 올해는 6,000원이 되면, 인플레이션이 일어난 겁니다.

 

 

4. 디플레이션 (물가 하락)

 

뜻:물건 값이 전반적으로 내려가서, 같은 돈으로 더 많은 물건을 살 수 있는 현상.

 

예시:

 

10,000원이던 신발이 8,000원으로 내려간 경우.

좋아 보이지만, 계속 디플레이션이 이어지면 경제가 침체될 수 있어요.

 

 

5. 스태그플레이션

 

뜻: 경기는 나쁜데 물가가 올라가는 아주 안 좋은 상황.

 

예시:

 

회사들은 문을 닫고

사람들은 일자리를 잃고

그런데도 빵값, 기름값은 계속 올라가는 경우입니다.

 

 

6. 기준금리

 

뜻: 중앙은행(한국은행)이 시중은행에게 적용하는 '기본 금리'입니다.

→ 모든 대출금리, 예금금리에 영향을 미칩니다.

 

예시:

 

한국은행이 기준금리를 1%에서 2%로 올리면, → 집 살 때 받는 대출 이자도 올라갑니다.

 

 

7. 통화정책

 

뜻: 나라가 돈을 얼마나 풀거나 조이는지 조절하는 정책입니다.

 

예시:

 

경기가 안 좋으면 → 금리를 낮추고 돈을 많이 풉니다.

경기가 너무 뜨거우면 → 금리를 올리고 돈을 조입니다.

 

 

8. 양적완화

 

뜻: 나라가 직접 돈을 엄청나게 시장에 풀어서 경제를 살리려는 정책.

 

예시:

 

2008년 금융위기 때 미국이 양적완화를 해서 주식 시장이 살아났습니다.

 

 

9. 긴축정책

 

뜻: 경제가 과열되지 않게 돈을 줄이고, 금리를 올리는 정책.

 

예시:

 

집값이 너무 오르면 정부가 돈줄을 조여서 대출을 어렵게 만드는 것.

 

 

10. 환율

 

뜻: 우리나라 돈과 다른 나라 돈을 바꾸는 비율.

 

예시:

 

1달러 = 1,300원이면

→ 1달러를 사려면 1,300원이 필요하다는 뜻입니다.

 

 

11. 무역수지

 

뜻: 한 나라가 수출(외국에 파는 것)과 수입(외국에서 사 오는 것)을 비교한 결과.

 

예시:

 

수출이 더 많으면 → 무역흑자

수입이 더 많으면 → 무역적자

 

 

12. 자산버블

 

뜻: 부동산이나 주식 가격이 실제 가치보다 지나치게 부풀어 오른 상태.

 

예시:

 

서울 아파트가 원래 8억 원 정도여야 하는데, 15억 원에 팔리는 경우.

 

 

13. 경기순환

 

뜻: 경제가 좋아졌다가 나빠졌다가 반복하는 자연스러운 흐름.

 

예시:

 

성장 → 호황 → 침체 → 회복 → 다시 성장

 

 

 

 

 

 

 

 

 

 

 

 

 

 

 

14. 재정정책

 

뜻:

 

정부가 세금을 걷거나 지출을 늘리거나 줄여서 경기를 조절하는 것.

 

예시:

 

경기가 나쁘면 정부가 돈을 풀어 일자리를 만들기도 합니다.

 

 

15. 채권

 

뜻: "나중에 이자까지 쳐서 갚을게!" 하고 발행하는 증서.

 

예시:

 

정부가 발행하면 '국채'

회사가 발행하면 '회사채'

→ 채권을 사는 사람은 돈을 빌려주는 겁니다.

 

 

16. 주식

 

뜻: 기업의 주인이 되는 작은 조각을 사는 것.

 

예시:

 

삼성전자 주식을 사면 삼성전자 회사 일부의 주인이 됩니다.

→ 회사가 성장하면 주가가 올라 돈을 벌 수 있어요.

 

 

17. ETF

 

뜻: 여러 주식이나 자산을 묶어서 한꺼번에 사고팔 수 있게 만든 상품.

 

예시:

 

KOSPI200 ETF를 사면

우리나라 대표 200개 기업에 동시에 투자하는 효과가 있습니다.

 

 

18. 인덱스펀드

 

뜻: 특정 시장 전체를 따라가는 펀드.

 

예시:

 

S&P500 인덱스펀드 → 미국 상위 500개 기업에 고루 투자하는 상품.

 

 

19. 분산투자

 

뜻: 한 곳에만 돈을 몰아넣지 않고 여러 자산에 나눠 투자하는 방법.

 

예시:

 

주식도 조금 사고, 채권도 사고, 금도 조금 사고 → 위험을 줄일 수 있습니다.

 

 

20. 리스크 관리

 

뜻: 투자할 때 큰 손실을 막기 위해 미리 대비하는 것.

 

예시:

 

모든 돈을 한 종목에 투자하지 않고 나눠서 관리하는 것.

 

 

21. 기회비용

 

뜻: 어떤 것을 선택했을 때, 포기한 다른 선택의 가치.

 

예시:

 

공부를 선택했다면,

대신 친구와 놀 기회를 잃은 것.

 

 

22. 소비자물가지수 (CPI)

 

뜻: 일반 소비자가 사는 물건과 서비스 가격이 얼마나 변했는지 나타낸 지표.

 

예시:

 

빵값, 커피값, 교통비 같은 것의 변동을 조사합니다.

 

 

23. 생산자물가지수 (PPI)

 

뜻: 기업들이 상품을 팔 때 가격이 얼마나 변했는지 나타낸 지표.

 

예시:

 

공장에서 나오는 물건 가격이 오르면,

나중에 소비자 물가도 오를 가능성이 커집니다.

 

 

24. 베어마켓 (약세장)

 

뜻: 주식 시장이 20% 이상 떨어지고, 분위기가 아주 나쁜 시장.

 

예시:

 

사람들이 겁내면서 "주식 팔고 싶다"라고 할 때.

 

 

25. 불마켓 (강세장)

 

뜻: 주식 시장이 쭉쭉 오르고, 모두가 긍정적인 시장.

 

예시:

 

사람들이 "이제라도 투자해야 하지 않을까?" 하는 분위기.

 

 

 

 

 

 

2025.04.25 - [생활경제정보] - MMF ETF란? 파킹통장 대신 MMF ETF(머니마켓펀드)

 

MMF ETF란? 파킹통장 대신 MMF ETF(머니마켓펀드)

MMF ETF란 무엇인가? MMF ETF는 단기 금융상품에 투자하는 MMF(머니마켓펀드)의 성격을 가지면서도, 주식처럼 실시간으로 거래 가능한 ETF(상장지수펀드)입니다. 기존 MMF보다 유동성이 높고, 예금보다

1.progress-joo.com

 

 

 

 

 

 

 

 

정리 포인트

 

경제는 돈의 흐름과 사람들의 심리를 같이 봐야 합니다.

경제용어는 어렵게 느껴지지만, 실제로는 우리 생활과 매우 밀접합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