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471990 (삼성 KODEX AI반도체핵심장비)
한국 증권거래소(KRX)에 상장된 ETF로, 티커 471990번입니다. 기초지수는 iSelect AI반도체핵심장비지수로 AI 반도체 핵심장비 산업에 종사하는 기업들을 중심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운용 보수(총보수율)는 약 0.39% 수준입니다.
최근 1년 수익률이 약 +54.6% 수준이며, 52주 범위가 약 7,100원 ~ 15,780원 수준입니다.
배당수익률은 약 0.65% 수준입니다.
특징적으로 반도체 소재·부품·장비(소부장) 및 AI반도체 설비 관련 기업 비중이 높습니다.

1. 기본 개요
명칭 : KODEX AI반도체핵심장비증권상장지수투자신탁 [주식] (티커 471990)
- 상장일 : 2023년 11월 21일
- 운용사 : 삼성자산운용 (Samsung Asset Management)
- 기초지수 : iSelect AI반도체핵심장비지수 — AI 반도체 핵심장비 산업을 영위하는 종목들을 선정해 구성된 지수입니다.
- 운용보수(총 보수) : 연 0.3900% (자료 기준)
- 위험등급 : 2등급 (높은 위험)로 분류되어 있습니다.
- 투자목적 : 국내 주식을 주된 투자대상으로 하여, 신탁재산의 60% 이상을 국내주식에 투자하고, 기초지수의 변동률을 유사하게 추종하도록 운용하는 ETF입니다.
2. 투자 포인트 및 특징
이 ETF가 갖는 주요 특징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1. 테마 집중형 ETF : ‘AI 반도체 핵심장비’라는 매우 구체적인 테마에 초점을 맞추고 있습니다. 즉 반도체 중에서도 특히 장비(Equipment) 부문, 그리고 AI 관련 반도체 제조 설비에 특화된 산업군입니다.
2. 기술·산업 성장 기대감 반영 : 반도체 시장 내에서 AI 관련 고성능 칩 수요 증가, 메모리·비메모리 패러다임 전환, 설비 투자 확대 등이 예상되면서 이 부문에 대한 기대가 반영돼 있다는 점이 투자 포인트입니다.
3. 국내 상장으로 국내 증시 접근성 : 해외 ETF나 외국 주식에 직접 투자하는 것보다 국내 증시 상장 ETF를 통해 비교적 쉽게 접근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4. 다수의 소부장 기업 포함 가능성 : 반도체 장비 및 핵심 소재·부품 기업이 구성종목으로 포함되어 있을 가능성이 높아, 반도체 밸류체인의 상·하류를 일부 커버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3. 구성 및 주요 지표
보유 자산 규모 : 2025.10.31 기준 순자산 약 1,863.89 억 원 수준입니다.
최근 시세 및 범위 예 : 2025년 11월 3일 장중 기준으로 1좌당 약 15,425원 수준이었습니다.
52주 범위(약 한 해 동안의 최고가/최저가)로는 약 7,105원 ~ 15,780원 수준이 기록돼 있습니다.
구성종목 예 : 최근 공개된 보유종목 상위로는 이수페타시스(비중 약 25.87 %), 한미반도체(약 21.04 %), 리노공업(약 15.17 %) 등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배당수익률 : 최근 자료 기준으로 약 0.65% 수준입니다.
4. 장점과 기회
반도체 산업 내에서 특화된 성장 섹터에 투자할 수 있다는 점이 큰 매력입니다. AI 반도체 및 그 설비에 대한 수요가 증가할 여지가 높습니다.
국내 증시에 상장되어 있어 환율 변동성이나 해외 상장이 가진 복잡성(해외 세제, 외화환산 등)을 상대적으로 덜 수 있습니다.
운용보수가 비교적 낮은 편이라 장기 보유 관점에서도 비용 부담이 크지 않다는 점도 장점입니다.
5. 리스크 및 유의사항
테마 집중형이라는 특성상 산업 사이클 리스크가 큽니다. 반도체 장비 업종은 경기순환 및 설비투자 주기에 민감합니다. 수요가 둔화되거나 메모리 가격이 하락하면 침체될 수 있습니다.
구성종목 비중이 일부 대형 종목에 치우쳐 있을 수 있고, 특정 기업 실적이나 이슈(예: 소재 수급 문제, 글로벌 공급망 리스크, 미·중 기술패권 경쟁 등)에 영향을 크게 받을 수 있습니다.
상장 이후 기간이 비교적 짧아 과거 실적의 데이터가 충분치 않을 수 있으며, 장기성숙한 ETF보다는 변동성이 클 수 있습니다.
배당수익률이 높지는 않으며, 본질적으로 자본이익(주가 상승)을 통한 수익이 기대되는 구조입니다.
ETF라도 주식시장 리스크(시장 하락, 산업 침체 등)에 노출되며, 원금 손실 가능성은 존재합니다.
6. 투자 전략적 고려사항
만약 이 ETF에 투자한다면 포트폴리오 내 테마형 할당 비중을 적절히 조절하는 것이 좋습니다. 전체 자산 대비 지나치게 높은 비중을 두면 리스크가 커질 수 있습니다.
반도체 산업이 현재 어떤 사이클에 있는지, 특히 설비투자 확대 국면인지 아니면 이미 과잉인지를 분석해 보는 것이 중요합니다.
단기 트레이딩보다는 중장기 관점에서 분할매수하거나 시장 조정 시 진입하는 전략이 더 유리할 수 있습니다.
또한 이 ETF만으로 반도체 산업 전체를 커버한다고 생각하기보다는, 메모리·파운드리·설비 등 다양한 반도체 관련 섹터를 함께 고려하는 것이 분산 측면에서 유리합니다.
국내외 기술패권, 무역분쟁, 반도체 소재 공급망 이슈 등 거시환경 변화도 주기적으로 모니터링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주요 구성종목 및 비중 (예시 기준)
아래는 최근 공개된 구성종목 상위 일부의 비중입니다.
종목명 티커 비중(%)
- 이수페타시스 007660 약 25.87 %
- 한미반도체 042700 약 21.04 %
- 리노공업 058470 약 15.17 %
- 파크시스템스 140860 약 6.88 %
- HPSP 403870 약 6.53 %
- 이오테크닉스 039030 약 6.11 %
- ISC 095340 약 4.74 %
- 하나마이크론 067310 약 2.59 %
- 대덕전자 353200 약 2.57 %
- 주성엔지니어링 036930 약 2.46 %
구성 포인트 & 해석
상위 3개 종목이 전체 포트폴리오에서 약 60% 이상의 비중을 차지하고 있어, 이 ETF가 특정 종목들에 비교적 집중되어 있는 구조임을 알 수 있습니다.
구성종목들은 모두 국내 상장 기업으로, “AI 반도체 핵심장비”라는 테마에 맞춰 반도체 장비 및 소재·부품 산업군에 속해 있는 기업들입니다.
비중이 비교적 낮은 종목들도 테마 내에서 성장 가능성이 있다고 평가되는 기업들로 구성되어 있으며, 다소 중형주 및 성장주 중심의 포트폴리오 형태입니다.
유의사항
비중 및 구성종목은 변동될 수 있습니다. 지수 산출 방식, 운용사의 리밸런싱, 기업 실적 변화 등에 따라 구성 종목 및 각 종목의 비중이 조정될 수 있습니다. (예: 지수명 “iSelect AI반도체핵심장비지수” 기준으로 스코어+유동시가총액 가중 방식 적용)
ETF이므로 구성종목 외에도 현금성 자산 혹은 기타 예비자산이 일부 포함될 수 있으며, 위 비중표는 주식 부분을 기준으로 합니다.
이처럼 테마 집중형 ETF는 단일 산업 리스크가 높을 수 있으므로, 투자 시 포트폴리오 내 적절한 배분을 고려하는 것이 좋습니다.
2. 442580 (한화 PLUS 글로벌 HBM반도체)
한국 증시에 상장된 또 다른 반도체 전문 ETF로 티커 442580번입니다. 글로벌 HBM(High Bandwidth Memory) 반도체 산업을 타깃으로 하고 있으며, 보유 주요 종목으로 SK 하이닉스, 삼성전자 등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최근 1년 수익률이 약 +91% 수준으로 매우 높게 나타났습니다.
기본정보
- 상품명 : 한화 PLUS 글로벌 HBM반도체증권상장지수투자신탁 [주식] (티커 442580)
- 운용사 : 한화자산운용 (Hanwha Asset Management)
- 상장일 : 2022년 9월 22일
- 운용보수 : 연 0.50% 수준 (“총 보수 0.5%”)
- 기초지수 : iSelect 글로벌 HBM반도체지수 (국내·해외 기업 중 HBM 반도체 및 DRAM 장비·부품·소재 기업을 포함)
- 투자목적 : 글로벌 HBM(High Bandwidth Memory) 및 DRAM 반도체 관련 기업에 집중 투자하여 산업 성장에 참여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구성종목 및 비중
상위 구성종목 및 비중은 아래와 같습니다 (2025년 10월 말 기준) :
- Micron Technology Inc (MU) : 약 26.86%
- 삼성전자 (KR7005930003) : 약 25.73%
- SK하이닉스 (KR7000660001) : 약 24.76%
- ASML Holding NV : 약 9.02%
- Lam Research Corp : 약 4.44%
- Applied Materials Inc : 약 4.38%
- KLA Corporation : 약 3.33%
- 기타 : 국내 부품·장비 기업 등 비중이 낮은 종목 포함
→ 특징 : 상위 3개 종목만으로 총비중이 약 77% 수준이며, 글로벌 대형 메모리/반도체기업들이 주된 구성입니다.
주요 투자포인트
HBM 반도체는 고대역폭 메모리로 AI 칩, 고성능 컴퓨팅, 데이터센터 수요 등에 필수적인 부품으로 인식되고 있습니다. 해당 ETF는 이런 기술 트렌드에 투자하는 방식입니다.
국내 기업(삼성전자, SK하이닉스)과 해외 기업(Micron, ASML 등)을 혼합하여 글로벌 반도체 생태계에 대한 노출이 가능하게 설계되어 있습니다. 테마형 섹터 ETF로서 반도체 산업의 성장 사이클을 적극적으로 활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리스크 및 유의사항
산업 집중 : 메모리·HBM 반도체 쪽에 집중되어 있어서 해당 분야의 경기후퇴, 가격하락, 기술변화에 민감합니다.
특정 종목 비중 집중 : 상위 몇 개 종목의 비중이 매우 높아 해당 기업들의 실적이나 리스크가 ETF 전체 수익률에 큰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변동성 : 기술주·반도체주는 경기민감 업종이므로 시장 전체 리스크(예: 글로벌 수요 둔화, 공급망 문제, 기술패권 경쟁 등)에도 영향이 큽니다.
환율 및 해외 노출 : 해외 기업 포함으로 인해 환율 변동, 각국의 규제·무역환경 변화 등에 노출될 수 있습니다.
수수료 및 거래유동성 : ETF 자체 보수는 0.5% 수준이나, 거래 시 시장가격과 NAV 간 괴리 가능성 및 거래비용도 고려해야 합니다.
2025.10.30 - [생활경제정보] - AI 버블과 닷컴 버블 유사성과 다른 점
AI 버블과 닷컴 버블 유사성과 다른 점
닷컴버블이란? 닷컴버블이란 1990년대 후반 인터넷 산업의 급성장 기대 속에서 실제 수익 구조가 불확실한 기업들까지 과도하게 고평가 되며 형성된 거품 현상을 말합니다. 인터넷만 붙으면 주
1.progress-joo.com
제언
만약 이 ETF에 관심이 있으시다면 다음과 같은 전략을 고려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
포트폴리오 내 테마할당 비중을 적절히 제한 : 전체 투자금의 일부만 해당 섹터 ETF에 노출하는 방식이 리스크 관리에 유리합니다.
반도체 산업 사이클 타이밍을 감안 : 현재 트렌드가 HBM/AI 메모리 쪽으로 이동 중이므로 해당 산업의 수요 전망, 가격 사이클 등을 점검할 필요가 있습니다. 장기투자 관점에서 접근하되, 분할매수 또는 조정 시 진입 전략을 고려하면 변동성 대응에 도움이 됩니다.
이 ETF 하나만으로 반도체 생태계 전체를 커버한다고 생각하기보다는, 소재·부품·장비·파운드리 등 여러 축을 고려한 보완 포트폴리오 구성이 좋습니다.
'생활경제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 AI 버블과 닷컴 버블 유사성과 다른 점 (0) | 2025.10.30 |
|---|---|
| 2차전지주 다시 급등하는 이유 (0) | 2025.10.28 |
| 금값 급락 원인(김치 프리미엄과 환율) (0) | 2025.10.23 |
| 70세 이후 생활비 실질적인 계산 알아보기 (0) | 2025.10.20 |
| 금시세 김치프리미엄(국제 시세보다 약 18% 이상 비싸) (0) | 2025.10.16 |